티스토리 뷰

 

요즘 건강식품시장에서 가장 핫한 제품이 크릴오일입니다.

오늘은 크릴오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프라인은 품귀현상이 일 정도인데 지방을 녹여버리기 때문에 다이어터들에게 대접을 받는 것부터 시작해인체 각 세포와 장기의 주요성분인 인지질과 오메가3(EPA,DHA등) 아스타잔틴등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여 혈관건강의 많은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그 중엔 저가의 저품질 제품들도 많기 때문에 잘 보고 골라야 하는데,어떤 크릴오일 제품을 골라야 하는지 짚어보고 크릴오일과 관련된 논문자료나 임상실험도 보도록 하겠다.

 

 

크릴오일을 고르실 땐!!

 

1. 인지질함량

2. NCS추출

3. 선상가공

4. FDA GRAS 등재된 원료이 4가지만 체크하면 된다.

 

1. 인지질함량

 

 

물에 녹고 지방을 녹이는 성격을 가진 인지질은 크릴오일의 핵심성분이고 인지질 때문에 크릴오일을 먹는다고 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인지질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을 먹는게 좋은데 시중의 제품들을 보면 그 비율이

30~56%까지 다양하게 있고, 기왕 먹을 거라면 가장 높은 함량을 먹는 것이 좋다.

 

현재 나와 있는 제품들 중엔 56%가 가장 높은데

50%와 56%는 별 차이가 없지 않느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가 않다.

50%에서는 나올 수 없는 효과들이 56%에서는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6%의 차이가 아니다.

 

예를 들어 50%에선 못 녹이는 지방의 양을 56%에서는 월등히 많이 녹일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터들은 필히가장 높은 것을 먹어야 한다.

(지방분해주사<PPC주사>의 주성분이 바로 이 인지질이다.

 

기술의 차이를 보더라도 30%에서 40%,50%까지 함량을 올리는 것보다 50%에서 51,52,53%로 올리는 건상당한 기술을 요한다.

 

시중의 제품들 중에선 인지질 56%인 제품들이 뉴트리코어가 있고 그 외 많지가 않은데

크릴오일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지나면 더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2. NCS추출방식(No-Chemical Solvent)

 

 

기름류는 추출할 때 여러가지 용매를 쓸 수가 있는데헥산, 

아세톤(매니큐어지우는) 같은 화학용매가 아닌 효소나 발효주정 같은 화학성분을완전히 배제한 것을 골라야 한다.

 

화학용매를 전혀 쓰지 않은 NCS 라고 분명하게 언급된 제품을 골라야 한다.

헥산 같은 화학용매들의 부작용 관련 논문을 잠깐 보자.

 

1) 오메가3 추출시 사용되는 헥산은 직접적으로 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일으켜 난포를 구성하는 과립막 세포의 사멸을 촉진시키며 난소장애가 나타남

- 생물의학과 환경과학지, 중국 후젠성 대학교 리우박스

 

2) 헥산이 건강에 주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손발의 감각이 둔해지는 말초신경병증이 나타남

- 미국 유해물질 질병 등록 보고서, 홍콩대학교 챙 교수팀

 

3) 헥산으로 인해 시각을 담당하는 대뇌에 문제가 생겨 근로자들에게서 대뇌기능장애가 발생

- 뇌파학임상신경학회지

 

3. 선상가공

 

 

말 그대로 크릴을 수확한 뒤 배 위에서 바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크릴은 산패(썩은기름)가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선상에서의 빠른 가공이 필수적인데 대부분의 회사들이크릴을 잡은 뒤 냉동해서 육지로 이동한 후 냉동상태로 보관하다 필요할 시 오일로 제조하게 된다.

 

그래서 사료용의 경우 방부제를 쓰게 되고 방부제 대신 값싼 살균제를 넣어 사고가 나기도 하는데실제 호주에선 사람이 먹는 크릴오일제품에 에톡시퀸이라는 살균제가 검출되어 난리가 난 적이 있다. 

 

에톡시퀸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신경계마비 및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물질이다.

 

그래서 크릴은 방부제를 쓸 필요가 없는 선상가공제품을 꼭 먹어야 한다.

 

4. FDA GRAS인증

 

 

GRAS는 미 FDA에서 안전성을 인정하는 최상위 등급으로 현재 GRAS에 등재된 크릴오일은 딱 2곳 있다.

 

주의할 것은 인터넷에 크릴오일 제품들 설명을 자세히 보면 크릴오일이 GRAS에 등재되었다는 것을 홍보하면서자사제품이 등록된 것처럼 마케팅을 하는데 눈에 띄지 않게 작은 글씨로

“해당 내용은 제품과 관련없는 원물에 대한 정보입니다” 라고 헷갈리게 광고하고 있는 것들이 많으니꼭 제품에 사용된 원료가 GRAS에 등재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5. DHA,EPA,아스타잔틴

 

 

업체별로 오메가3(DHA,EPA)가 얼마다, 아스타잔틴 함량이 200이다 300이다 등 광고를 하는데

이 함량들은 아무 의미 없다.

 

이런 기준들로 시중의 제품들을 비교해 보면

참고로 뉴트리코어는 효소추출 제품과 인지질56% 제품 두가지가 있는데 인지질 56% 제품을

선택하는게 좋다.

 

제품은 골랐으니 크릴 오일의 효과에 대해 보자..

 

크릴 오일은 오메가3와 자주 비교되는데, 생선이 주 원료오메가3와 달리 먹이사슬 최 하단에 위치하여중금속이나 환경호르몬 오염에 대한 위험이 적고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인지질이란 세포막의 핵심 성분으로 인간의 뇌가 50% 이상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지질 섭취 = 두뇌 건강으로도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2013년 일본여자대학에서 진행한 “크릴오일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실험을 보면

피쉬오일을 먹었을 때 보다 크릴오일을 먹었을 때, 두뇌 활성화 시 발생하는 옥시헤모글로빈이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들 때문에 치매 예방에도 좋다고도 알려져 있다.

 

또한 크릴오일은

물에 잘 녹는 친수성과 기름에 잘 녹는 친유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체내 흡수율이 매우 높고

체내 지방 등 기름을 배출하는 효과도 뛰어나다.

 

1. 높은 흡수율

 

 

체내에 기름이 들어오면 담즙에서 물에 잘 녹도록 변화한 뒤 소화 흡수가 진행되는데,

크릴 오일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 없이 바로 흡수된다.

 

다이렉트로 위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어유 보다 흡수율이 2배 가량 높고,

세포막으로 바로 전해져 생체이용율은 8배나 높은데 이걸 복용량으로 따져 보면 피쉬오일 2000mg과 크릴오일 250mg이 같은 수준이다.

 

2. 기름 분해

 

 

크릴오일이 가진 기름에 잘 녹는 성질(친유성) 때문에 혈관 속 기름, 내장 지방 등 몸 속 기름과 쉽게 결합 하게 되는데,

결합된 기름은 녹아내려 밖으로 배출된다.

 

실제로 2014년 영양연구학회지 (Nutrition Research)를 보면 12주간 크릴 오일을 복용했을 때,

착한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고혈압,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만성 질환을 유발하는“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10%나 감소했다.

 

이처럼 크릴오일에 있어 인지질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꼭 인지질함량이 높은 것을 먹어야 한다.

 

 

 

 

 

댓글